레이블이 케이시 애플렉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케이시 애플렉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17년 11월 6일 월요일

A ghost story (2017)

몇 달 전 영화에 대한 리뷰글을 스치듯 지나가며 온 몸을 가리는 하얀 천을 뒤집어쓴, 그 전통적인 유령의 사진을 볼 수 있었다. 그 안에는 올해 초 맨체스터 바이 더 씨로 남우주연상을 받은 케이시 애플렉이 있다.

어디에선가 영화가 별로라는 말을 본 듯도 하여 큰 기대는 하지 않았지만 케이시 애플렉과 루니 마라가 출연한 영화를 그냥 지나갈 수는 없었다. 감상을 짧게 말하자면 나쁘지 않았다고 하겠고, 감상 후 찾아본 리뷰들은 대개 호평 일색이었다. 

케이시 애플렉에 대해 말하자면 그의 연기를 그렇게 높이 평가하지는 않았다. 매번 루저 역할을 맡아왔기 때문에 배우 자체에 대한 호감이 높지 않은 탓인지도 모르겠다. 맨체스터 바이 더 씨로 공식적으로 그를 연기가 별로인 배우라고 말하기는 어려워졌지만 나에겐 인상적이지 않은 배우 정도였다. 

이 영화에서 케이시 애플렉은 거의 대부분 시간을 하얀 천 속에서 연기했다. 설정상 영안실에서 일어날 때 그를 덮고 있던 하얀 천이 그대로 그의 신체를 가리고 있는 것이라 두 눈의 위치에 구멍이 뚫려있을리가 없지만, 영안실에서 시체가 일어난 순간 그것은 더 이상 이 세상이 아니라 저 세상의 유령이니 구별해서 봐야할 일이긴 하다. 여하간 그의 연기란 것을 영화에서 보기는 매우 어렵다. 눈의 위치에 구멍이 있으니 그의 눈동자도 보일 법 하지만 특수 효과를 넣었는지 거의 검게 보일 뿐이다. 물론 유령은 설정상 눈동자가 없어야하지만 그 연기를 하는 케이시의 눈이야 카메라에 드러날 수 있고, 어느 순간엔 눈동자를 본 것 같기도 하다. 유령 역할로서 그는 그저 천천히 걸어다니고, 많은 시간 그저 가만히 서 있을 뿐이다. 그러고보니 눈에 구멍을 뚫어놓지 않으면 유령의 시선이 어디를 향하는지, 유령이 무엇을 보고자 하는지 알기 어려우니 유치하게 보임에도 그런 설정을 한 것 같다. 생각해보면 생전의 모습을 그대로 갖고 있는, 그러니까 천을 쓰지 않은 케이시가 유령으로서 화면 속에 있다면 그가 살았는지 죽었는지 헛갈릴 수 있을 것이다. 하얀 천을 쓰고 있으면서 이것은 사람이 아니다, 유령이다라는 것을 분명히 시각적으로 구별할 수 있게 해주는 효과가 있다. 

영화에서 인상적인 장면 몇 개가 있는데 강함의 순서로 적어보겠다. 가장 큰 호기심과 궁금증을 불러일으키는 장면은 마지막에 아내가 벽 속에 숨긴 쪽지를 보고 소멸하는 컷이다. 과연 무슨 말이 있었길래 그 유령은 마침내 소멸하게 된 것일까. 영화에서 옆 집에 있던 유령은 낡은 집이 포크레인에 의해 허물어지자 자기가 기다린 누군가가 돌아오지 않는 것 같다며 사라진 바 있다. 그렇다면 회한에 가득한 유령이 깨달음을 얻게 되었을 때 마침내 이 세상을 떠날 수 있다는 설정이 아닐까 싶고, 아내의 쪽지에도 유령에게 깨달음을 주는 어떤 메시지가 있었을 것 같다. 쪽지 내용이 궁금해서 검색을 해봤는데 놀랍게도 감독의 인터뷰가 있었다. 그의 설명에 따르면 루니 마라가 촬영 당시 생각나는대로 무언가 적었는데 그녀도 잊어버렸고, 감독 자신은 알지도 못한다는 것이다. 아마 알지만 말하지 않는다는 인상을 받았지만 쪽지의 메시지 몇 글자를 아느냐 모르느냐가 핵심적인 관건이 아니라는 감독의 설명도 수긍이 간다.

다음으로는 루니 마라가 부동산 업자가 남기고 간 커다란 파이를 몇 분간 바닥에 앉아 먹는 장면을 꼽을 수 있다. 마치 트윈 픽스 더 리턴에서 로드하우스 바닥 청소를 하는 장면처럼 길었던 이 장면은 그녀의 슬픔을 설명하는 역할을 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무엇인지 아리송한 트윈 픽스 씬과는 차이가 있긴 했지만 정신없이 많은 컷을 이어붙이는 요즘 영상들과 확연히 다른 이 영화의 성격을 대표하는 장면이라고 하겠다.

그리고 그 집에서 어느 순간 있었던 파티 장면에서 한 남자의 일장 연설도 주목할만하다. 자연은 파괴되고 지구는 언젠가 멸망할 텐데 인간의 행위가 무슨 의미가 있냐는 허무로 가득한 말들로 기억된다. 이 장면의 메시지야 그 자체로는 이해할 수 있는데 영화에서의 위치를 어떻게 잡은 것인지 궁금하다. 아내가 남긴 메시지에 대한 궁금증으로 수십 혹은 수백 년의 세월 동안 집을 떠나지 못했던 유령에게 다른 어느 것도 의미가 없었다. 살아있던 시절, 아이도 없는 상황에서 그의 삶에서 아내보다 큰 의미를 갖는 것은 없었을 것 같다. 음악을 만드는 사람이었으므로 음악에 대한 사랑을 말할 수도 있겠지만 그가 아내보다 음악을 사랑하지는 않았을 것이다.

영화의 시간관에 대해서는 긴 논의를 할 수 있을 것 같다. 그러나 지금은 가능한 짤막하게 생각해보고 싶다. 영화에서 전시된 것을 보면 케이시와 루니가 그 집에 살다가 이사를 가려고 했는데, 이사를 가기 직전 케이시가 죽고 유령이 되었다. 그가 죽기 전에 피아노에서 소리가 났는데 나중에 밝혀진 바로는 유령의 소행이었다. 이미 여기서 시간이 꼬이고 있다. 케이시가 죽기 전에 그의 유령이 피아노에서 소리를 낸 것이다. 또한 아주 먼 미래의 어느 순간 그 집의 자리에 들어선 고층 빌딩에서 유령이 자살(?)을 시도하는 듯한 장면 후에 시간은 과거로 돌아가 미국에 유럽의 백인이 정착하던 시절이 된다. 유령은 그 백인들이 인디언들의 화살로 몰살당하는 장면을 본다. 생각해보면 우리들의 집이 있던 자리는 무덤 위에 지은 것일 수도 있고 무덤이 아니라도 많은 과거의 인물들이 죽은 그 자리일 가능성이 다분하다. 그들의 유령들이 그 자리에 있더라도 이상하지 않다. 그러나 어찌 되었건 영화에서는 케이시의 유령만이 그 자리, 그 집에 존재한다. 그 유령은 자꾸 순환하는 시간의 고리에 갖혀서 어느 순간에는 유령이 다른 자신의 유령, 조금 더 과거의 유령을 지켜보는 장면까지 연출된다. 그런데 조금 더 새로운 유령이 더 오래된 유령을 알아채지는 못 하는 것 같다. 유령의 시간은 사람의 시간과 다르게 흘러가는 것처럼 연출되었다. 유령의 시각에서 어느 순간에 한 가족은 살아있었다고, 죽었고, 어느 순간 해골이 되어 있었다.  그 순환의 고리는 아내가 남긴 쪽지로 끊어질 수 있었다. 이 시간관에 완전히 설득되지는 않지만 매우 흥미로운 설정이었음은 인정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