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AFTA를 봐서인지 아카데미 시상식이 수상자에 있어서는 크게 새로울 것이 없었다. 골든 글로브까지 비슷한 시기에 비슷한 사람들에게 상을 주는 세 개의 시상식이 있는 이유는 잘 모르겠지만 아주 잘 만들었거나 운이 좋은 사람은 몇 달 안에 영광스러운 상을 끌어모을 수도 있다.
문자 중계로 수상 소감을 얼핏 봐서 수상자들의 떨리는 감사의 말들이 그다지 감정적으로 느껴지지 않았던 단점이 있었다. 어쨌거나 장장 세 시간에 달한 시상식을 봤는데, 호아킨 피닉스가 열연한 더 마스터가 아무 상도 얻지 못한 것이 안타까웠고, 제로 다크 써티도 아마 수상하지 못했던 것 같다.
아르고는 이번에도 좋은 상을 받아갔고, 장고 언체인드, 링컨 같은 순전히 미국적인 영화들도 좋은 성적을 거뒀다. 스필버그의 링컨이라니, 과연 어떻게 영화를 만들어놨을지 빨리 보고 싶다.
아직 보지 못했고 국내 개봉중인 실버 라이닝스 플레이북이 제니퍼 로렌스로 여우주연상을 배출했는데, 생각해보니 아직 제니퍼의 출연작을 하나도 못 본 것 같다. 이 영화에 대한 기대도 커진다.
레미제라블은 이번에도 앤 해써웨이에게 여우조연상을 안겼지만 많은 상을 받진 못했다. 휴 잭맨은 시상식 공연에서 제일 처음 나와 단독샷으로 많이 노출되었지만, 러셀 크로우는 이젠 조연이 어울리는 배우가 된 것인가 싶어 마냥 안타까웠다.
라이프 오브 파이는 3D와 컴퓨터 그래픽이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지만 이안이 감독상을 받았다. 이런 영화에서 감독이 어떤 역할을 했는지는 궁금한 일이다. 특수효과를 이러저러한 식으로 만들어달라고 주문을 하긴 했겠고, 그게 전체적으론 더 중요한 일이긴 할 것이다.
많은 남자배우들이 무대에서 턱수염을 덥수룩하게 하고 나와서 아니, 턱수염은 수많은 나비넥타이처럼 아카데미 시상식의 드레스코드인가라고 착각을 할 정도였다. 찾아보니 그건 아니고 그냥 요즘 할리우드 남자배우들이 수염을 많이 기른다고 한다.
마지막 최고의 작품상을 미셸 오바마가 (아마도 백악관에서) 발표하는 장면도 이색적이었다. 기왕이면 행사장에 나와서 발표를 해도 좋으련만, 경호상의 이유였을까?
2013년 2월 25일 월요일
광대를 위한 슬픈 발라드 Balada Triste De Trompeta
경고받은 대로 충격적인 영상이었다. 그렇다고 아주 쎈 공포영화의 레벨은 아니었지만 현실감이 있기에 오히려 더 견디기 힘들었던 영화이기도 했다.
영화가 광대들의 이야기지만 처음부터 현대사의 비극인 스페인 내전으로 시작하여 프랑코가 스페인 1인자의 자리에서 물러나는 1973년의 이야기로 끝난다. 그러므로 영화는 프랑코 독재기를 광대들을 이용하여 은유하였다고 볼 수 있다. 프랑코는 직접적으로 영화에서 등장하기도 하는데 슬픈 광대인 하비에르는 원수인 살세도 대령의 명령으로 개가 되어 프랑코에게 사냥당한 새를 물어서 바친다. 그러자 프랑코조차도 그러한 인권 모독을 참지 못하는 우스운 장면이 연출된다.
영화 후반 광기어린 슬픈 광대의 폭주가 이어지던 와중 실제 사건이었던 폭탄 테러 장면이 나오는데 영화에서 볼 때는 '프레지던트'였는데 찾아보니 프랑코의 후임으로 1973년 총리가 되었던 루이스 까레로 블랑코가 그 때 죽었다.
해외를 포함해 몇 개의 영화평을 참고하긴 했지만 기독교, 가톨릭에 대한 영화의 표현에 대한 국내 영화 리뷰는 잘 보이지 않았다. 마지막 부분이 거대한, 정말 거대한 십자가 위에서 세 명이 생사를 걸고 싸운 장면이었고, 하비에르가 살세도 대령을 살해하는 즈음 교황 복장을 했던 것을 보면 영화가 가톨릭에 대해 할 말이 많았다고 볼 수 있는데 당시 시대상황을 잘 모르겠다. 모르긴해도 교계가 독재체제에 저항하진 않았다고 짐작할 수 있다. 기독교의 핵심이 사랑이라고 할 때 광기로 폭주하는 두 광대와 가해의 결과물인 자신의 피를 맛있다는 듯 혀로 핥는 영화 초반의 나탈리아의 모습은 도대체 사랑이라는 게 무엇인지 모호하게 만든다.
슬픈 광대의 아버지를 포함해 내전의 양 당사자들의 해골이 여기저기 발로 차이는 계곡은 내전의 상처가 프랑코가 물러날 시기에도 여전하고 아마도 이후로 40년이 지난 지금에 와서도 아물 수 없음을 보여주고 있다. 내전은 외국과의 전쟁보다 더 아플 수 밖에 없으리라.
영화가 광대들의 이야기지만 처음부터 현대사의 비극인 스페인 내전으로 시작하여 프랑코가 스페인 1인자의 자리에서 물러나는 1973년의 이야기로 끝난다. 그러므로 영화는 프랑코 독재기를 광대들을 이용하여 은유하였다고 볼 수 있다. 프랑코는 직접적으로 영화에서 등장하기도 하는데 슬픈 광대인 하비에르는 원수인 살세도 대령의 명령으로 개가 되어 프랑코에게 사냥당한 새를 물어서 바친다. 그러자 프랑코조차도 그러한 인권 모독을 참지 못하는 우스운 장면이 연출된다.
영화 후반 광기어린 슬픈 광대의 폭주가 이어지던 와중 실제 사건이었던 폭탄 테러 장면이 나오는데 영화에서 볼 때는 '프레지던트'였는데 찾아보니 프랑코의 후임으로 1973년 총리가 되었던 루이스 까레로 블랑코가 그 때 죽었다.
해외를 포함해 몇 개의 영화평을 참고하긴 했지만 기독교, 가톨릭에 대한 영화의 표현에 대한 국내 영화 리뷰는 잘 보이지 않았다. 마지막 부분이 거대한, 정말 거대한 십자가 위에서 세 명이 생사를 걸고 싸운 장면이었고, 하비에르가 살세도 대령을 살해하는 즈음 교황 복장을 했던 것을 보면 영화가 가톨릭에 대해 할 말이 많았다고 볼 수 있는데 당시 시대상황을 잘 모르겠다. 모르긴해도 교계가 독재체제에 저항하진 않았다고 짐작할 수 있다. 기독교의 핵심이 사랑이라고 할 때 광기로 폭주하는 두 광대와 가해의 결과물인 자신의 피를 맛있다는 듯 혀로 핥는 영화 초반의 나탈리아의 모습은 도대체 사랑이라는 게 무엇인지 모호하게 만든다.
슬픈 광대의 아버지를 포함해 내전의 양 당사자들의 해골이 여기저기 발로 차이는 계곡은 내전의 상처가 프랑코가 물러날 시기에도 여전하고 아마도 이후로 40년이 지난 지금에 와서도 아물 수 없음을 보여주고 있다. 내전은 외국과의 전쟁보다 더 아플 수 밖에 없으리라.
피드 구독하기:
글 (At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