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니 빌뇌브 감독의 영화 중 초기작인 Incendies, 한국 개봉명 '그을린 사랑'은 안 보고 있던 차였는데 영화가 레바논에 관한 것이라길래 잉?하며 급히 찾아보게 되었다. 그의 다른 작품들은 거의 다 봤다고 생각했고, 본 영화들 대부분은 할리웃 영화였기 때문이다. 조금 전 imdb에서 보니 감독작은 새로운 블레이드 러너를 포함하여 16개나 되므로 프리즈너스 이전 작품은 하나도 못 본 셈이다. 프리즈너스 이후 할리웃 대작들을 찍고 있다.
그을린 사랑이라는 제목 자체가 쉽게 받아들여지지 않아서 무슨 의미인지, 무엇에 관한 영화인지 짐작을 할 수 없었다. 많은 사람들은 그을린 사랑이라는 국내 개봉명이 잘 된 번역이라고 말한다. '그을린'이라는 말을 떠올리기가 쉽지 않은데 사실 영화의 원작이 되는 연극 극본의 제목이 scorched, 즉 그을림이라는 뜻이기 때문에 한국 번역자가 생각해낸 번역어가 아님을 알 수 있다. 앵상디 정도로 읽어야 하는지 모르겠는데 프랑스어인 원제는 화재가 기본적인 의미이고, 확장적인 의미로 분쟁, 내전까지 의미하는 듯 하다. 여하간 불, 화재와 그 결과로서의 그을림이라는 연결이 이루어진다. 영화에서는 직접적인 의미에서의 화재는 버스에서 발생했고, 내전으로 인해 불에 타고 무너진 건물들을 볼 수도 있었다.
본 사람은 다 이해할 수 있을 영화 내용인데 영화의 구성은 쌍둥이 남매가 죽은 엄마의 과거의 비밀을 스스로 알아나가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엄마를 고용했던 캐나다인 공증인은 아마도 비밀을 상당히 알고 있었던 것 같은데 남매가 스스로 충격적인 비밀을 깨달을 때까지 기다린다.
인터넷에서 본 어떤 평은 단적으로 오이디푸스 신화를 현대에 적용한 거라고 평했다. 소년이 왕이 되지도 않고, 직접적으로 아버지를 죽인 것도 아니긴 하지만 자신의 어머니를 몰라보고 성관계를 갖는 것(이런 중립적이고 온건한 표현이 적절한지 모르겠지만)만은 공통적이다. 영화가 오이디푸스에 해당할 남성이 아니라 어머니에 중점을 두고 있다는 점도 큰 차이다.
영화의 충격적 반전은 사실이 완전히 까발려지기 전에 어느 정도 짐작은 가는 바였다. 설마 그렇게까지할까라는 의심은 있었지만. 애초에 어머니가 큰 아들을 낳은 시점 자체가 의문이었는데 왜냐하면 같은 배우가 계속 나오기 때문에 무슬림 난민인 남자 친구가 죽은 시점에 도대체 몇 살인가 헛갈리기 때문이다. 찾아보니 10대 시절이라는 건데, 이후 이 여성이 대학에 들어가고 운동을 하고 정치범으로 수용되는 걸 감안하면 처음 등장할 때 10대였던 것이 맞는 것 같다. 하지마 화면상의 외모로는 별로 그렇게 볼 수가 없었다. 그렇다면 아마도 40 전후가 되었을 그 비극의 순간에 큰 아들의 만행이 충분히 가능했을 것이다.
영화의 원작이 레바논을 배경으로 했는지 모르겠지만 영화는 레바논을 배경으로 한다는 말을 전혀 하지 않는다. 영화의 사건과 레바논 현대사에 일치점이 있을 뿐이다. 레바논에 대해 큰 관심을 가진 적은 없지만 오랜 내전이 있었고 그 성격이 무슬림과 기독교의 대결이라는 점은 이제야 알게 되었다. 어머니가 기독교인인데 갑자기 기독교 지도자를 암살하길래 이게 무슨 일인가 했는데 아들이 죽은 것으로 생각하고 무슬림쪽에 가담했던 모양이다.
세월이 지난 후에 화제작을 처음 접하면 김이 빠지는 경우가 많다. 아무래도 영화는 촬영이나 개봉 당시에 봐야 그 의미가 더 분명하게 드러날 터이다. 지금 와서야 보게된 그을린 사랑은, 만약 감독의 의도대로 레바논 이야기가 아니라 인간사 일반적인 이야기라고 하면, 이게 무슨 희한한 이야기인가, 얼마나 비현실적인가로 평가될 가능성도 다분한다. 실제 나의 느낌이 그렇다. 추리극 같았던 영화의 전개와 구성 방식은 뛰어났으나 현실적 의미를 배제한 채 중동 같긴 한데 아닐 수도 있다는 장소의 이상한 이야기는 어쩔 수 없이, 믿을 수 없이 무한한 모성애에 대한 경외감 정도로 정리될 수 있을까. 전쟁 세대와 전후 세대의 건널 수 없는 간극에 관한 이야기일까, 아니면 우리 속에 숨어 있는 절대악에 대한 것일까, 절대악도 사연이 있다는 이해를 요구하는 것일까.
댓글 없음:
댓글 쓰기